동아시아 문화권 공통점좀 찾아주세요 ㅜㅜ 학교 숙제인데 동아시아 문화권의 공통 요소를 찾을 수 있는 유물이나
학교 숙제인데 동아시아 문화권의 공통 요소를 찾을 수 있는 유물이나 유적 찾아주세요 ㅜㅜ 한국이랑 중국 일본 베트남의 유교, 율령, 불교, 한자 입니당!
동아시아 문화권(한국, 중국, 일본, 베트남)의 공통적인 문화 요소인 유교, 율령, 불교, 한자와 관련된 유물이나 유적들을 아래에 정리해봤어요.
✅ 1. 유교 (儒敎)
공통점: 유교는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각국의 정치·윤리·교육 사상에 큰 영향을 줌.
중국:
️ 공자 사당(孔庙) – 산둥성 취푸에 위치, 공자의 사상을 기리는 대표 유적.
한국:
️ 성균관 – 조선시대 최고 교육기관. 공자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.
일본:
️ 유시마 성당(湯島聖堂) – 도쿄에 있는 유교 사당. 에도 시대에 학문을 장려하며 세움.
베트남:
️ 문묘(文廟) – 하노이에 있는 공자를 모시는 사당이자 유교 교육 기관.
✅ 2. 율령(律令) 체제
공통점: 중국의 율령 제도를 모방하여 중앙집권적 국가 체제를 확립함.
중국:
당률령(唐律令) – 당나라의 법전. 동아시아 율령제의 모범.
한국:
경덕왕 때 율령 체계 정비 – 특히 신라의 율령 제도 정비는 당의 영향을 강하게 받음.
일본:
다이호 율령(大宝律令) – 701년에 제정된 일본의 율령. 중국 당나라 법전 참고.
베트남:
홍득 법전 – 중국식 율령 체계를 바탕으로 한 베트남의 법률 체계.
(율령은 유물보다는 ‘문헌’ 형태가 많아요!)
✅ 3. 불교 (佛敎)
공통점: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가 중국을 거쳐 각국에 전파되어 사찰과 불상 등 유적이 남음.
중국:
룽먼 석굴(龍門石窟) – 수많은 불상과 불교 조각들이 있는 대표 유적.
한국:
불국사 & 석굴암 – 통일신라 시대 대표 사찰과 석굴 사원.
일본:
호류지(法隆寺) –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불교 사찰.
베트남:
바이딘 사원(Chùa Bái Đính) – 베트남 최대 불교 사찰 중 하나.
✅ 4. 한자 (漢字)
공통점: 한자는 중국에서 만들어졌지만, 동아시아 전체에 영향을 끼친 문자.
중국:
갑골문 – 가장 오래된 한자 형태. 은나라 시대의 거북껍데기 문자.
한국:
훈민정음 해례본 – 한글 창제 당시에도 한자는 공문서와 학문에 사용됨.
일본:
고지키(古事記) – 일본 최초의 역사서, 한자로 기록.
베트남:
쯔놈(Chữ Nôm) – 한자를 응용한 베트남 고유 문자.
정리 요약표